리뷰/금융·재테크 2018. 3. 11. 23:24
[ 핵심혜택 ]국내외 가맹점 이용금액 1% 기본 M포인트 적립생활필수영역 1% 추가 M포인트 적립선결제 시 0.5% 추가 M포인트 적립M포인트를 H-Coin으로 전환 현금처럼 100% 사용 * * * 현대카드 M2를 사용 중에 유효기간 만료로 자동 발급되어 온 카드가 현대카드 ZERO로 왔다기존에 하이마트 M카드가 있어서.. 제로카드가 발급된 것 같은데.. 상담원은 이런 얘기를 안했다. 안내받지 않는 카드가 와서 기분 나쁘지만.덕분에 새로운 카드를 받아서 일단 살펴왔다. 흰색 디자인으로 현대카드 중에 디자인이 제일 별로다.. 그럼, M카드와 ZERO카드의 차이는 무엇일까? 현대카드 홈페이지에서 챗봇 서비스 "Fiona" 에게 물어봤다. "현대카드M Edition2는 쓸수록 더 많은 포인트를 쌓아서 다양한..
리뷰/금융·재테크 2018. 1. 1. 20:03
하이마트에서 가전제품사고 발급받은 하이마트 현대카드M Edition2 하이마트 결제 혜택 5% 청구 할인 전월 이용금액 20만원 이상 시연간 5만원 한도 내 할인 제공신규 발급 시 발급월 포함 3개월간전월 이용금액 무관하게 혜택 제공 5% M포인트 적립 무이자할부 제외현대카드 세이브서비스(포인트 연계 할부서비스) 이용 시해당 현대카드 세이브 적립률로 적용 M포인트 적립 모든 가맹점에서 기본 M포인트 0.5~2% 적립 당월 이용금액 100만원 이상 이용 시 1.5배 적립당월 이용금액 5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 이용 시기본 M포인트 적립 온라인쇼핑 시 추가 M포인트 1~10% 적립 현대카드 홈페이지를 통해 접속 후 제휴온라인쇼핑몰 결제 시에만 적용 현대·기아차 구매 시 특별 M포인트 1.5% 적립 신차 ..
리뷰/금융·재테크 2017. 9. 8. 00:25
아이를 가지고 고민한것 중 하나가 태아보험 가입이였는데요그 선택기준을 공유드리니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주의] 개인적인 의견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1. 가입시기 저체중아, 선천성 질병으로 인한 장애 등 신생아 관련 주요 보장은 임신 22주 이내에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22주가 지나면 신생아 관련 보장은 빼고 가입해야 하기 때문에 16~22주 사이에 가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22주전 가입하세요 2. 생명보험 vs 손해보험 보험회사 선택이 가장 머리 아픈 선택입니다. 검색을 해봐도 광고만 많고 ...의료실비 부분은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이 서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 따라서 실비보험을 제외하고 나머지 담보내용에 대한 비교가 필요합니다.생명보험은 사망이나 연금보장에 특화되어 있어 이런 부분은 정액..
리뷰/금융·재테크 2016. 11. 3. 23:07
2016년부터 달라진(2015년 귀속) 연말정산 7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원천징수세액 선택 제도 도입 (신설) 2015년 7월부터 근로소득자가 매월 낼 소득세를 간이세액표 금액의 80%, 100%, 120%중에서 선택 가능합니다. 환급액이 많을 경우에는 80%를 선택하고 추가납부액에 많을 경우에는 120%를 선택하도록 공제신고서 서식이 개정되었습니다. 해설: 내야할 세금의 총액은 달라지지 않습니다. 그저 평소에 적게(80%) 내다가 연말정산때 안낸 세금만큼 더 내는것과 평소에 더(120%)내다가 연말정산시 적게 혹은 정산 후 남은돈을 돌려받는 제도에요. 따라서 연말정산때 돈 받는것으로 기분내시려면 120%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결과적으로 80%, 100%, 120%중 뭘 선택해도 세금 총액은 달..
리뷰/금융·재테크 2016. 9. 10. 15:50
SWIFT 은행 식별 코드(BIC) SWIFT 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s)의 약자로 다른말로 BIC(Bank Identifier Code) 즉, 은행식별코드라 부른다. ISO 9362(SWIFT-BIC, BIC코드, SWIFT ID, SWIFT코드)로 명명된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의해 승인된 금융기관 식별코드(BIC)의 표준서식이다. 영숫자로 이루어진 11자리로 구성되는데 금융기관코드(4)+국가코드(2)+도시코드(2)+지점코드(3) 으로 구성된다. 금융기관 부분의 경우 해당 금융기관의 약어가 보통 사용되며, 국가코드는 한국의 경우 KR이고 일본은 JP. 서울은 SE,S1,SX로 사용된다. 부산은 2..
리뷰/금융·재테크 2016. 8. 1. 00:54
금리인하요구권이란?대출거래약정 당시와 비교하여 신용상태 개선 등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절차에 따라 금리 인하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함.따라서 신용상태가 좋아지면 금융기관에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고 금리 인하를 요구하면 상환기간 전이라도 금리를 인하받아서 이자 부담을 줄일수 있습니다. 금리인하요구권을 청구할수 있는 자격은?대출거래 약정시와 비교하여 신용및 재무상태 개선등 일정한 요청건 충족한차주 가계여신 차주의 작장변동 (무직에서 취업한 경우 ,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정부기관등으로 이직한경우) 동일직장내 직위(직급)가 상승한 경우 차주의 신용등급이 개선된 경우 차주가 우수고객으로 선정된 경우 차주의 연소득 또는 재산이 일정비율 이상 증가한 경우 차주가 전문직 자격증을 취득하고 현업에 종사하게 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