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 POS, DPOS, POI, POC, POA, Non-Mining, ZKP

2018. 10. 24. 00:17

블록체인 채굴 방식 배너



블록체인의 컨센서스(Consensus; 합의)는 암호화폐/가상화폐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써

이 컨센서스에 따라 블록 해시값이 계산되고, 계산된 값으로 서로 연결되어 블록체인이 유지됩니다.


컨센서스는 '컨센서스 프로토콜', '컨센서스 알고리즘', '합의 프로토콜', '합의 알고리즘', 그리고 '채굴 방식' 등 다양하게 부르는데 사실 모두 같은 의미입니다. 코인들은 이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어떻게 설계하고 구현하느냐에 따라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습니다. 효율적인 컨센서스와 보상체계는 해당 코인으로 기계와 사람이 모이게 하여 미래에도 살아남는 원동력이 됩니다.


최근에는 보편적인 채굴 방식인 POW, POS 이후 차별화를 위해 새롭게 만들어지는 채굴 방식이 많이 개발되었는데.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채굴 방식으로 DPOS, POI, POC, POA 등과 기존 채굴 방식을 조합한 이른바 '하이브리드 채굴 방식'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코인 중 하나인 대시코인은 일반적인 거래에서는 POW로 채굴되다가 익명성이 필요할 때는 POS로 채굴되어 거래되는 식입니다.

이렇듯 각자 생존을 위해 다양한 채굴 방식이 개발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앞으로 또 어떤 채굴 방식이 개발될지 기대가 됩니다.




아래는 현존하는 채굴 방식을 정리했습니다.







POW


POW란 Proof Of Work의 줄임말로 "작업증명"을 뜻합니다.


블록체인의 블록은 해시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 블록 해시값으로 생성되는데,

이 해시 알고리즘을 컴퓨터(CPU, GPU, FPGA, ASIC)의 연산력으로 블록 해시값을 찾고 그 기여도에 따라 코인을 배분 받는 방식입니다.

최초의 암호화 화폐인 비트코인이 POW 방식으로 마이닝 되고 있고 이후 많은 코인들이 POW 방식으로 채굴되고 있습니다.

POW는 높은 연산력과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효율이 낮고 일반인이 채굴하기가 어려운 것이 문제입니다.


해당코인: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라이트코인(LTC), 도지코인(DOGE) 등





POS


POS란 Proof Of Stake의 줄임말로 "지분증명"을 뜻합니다.


POW의 에너지 낭비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채굴 방식으로,

코인 보유의 속성(보유량, 보유기간 등)에 따라 블록을 생성하고 그 기여도에 따라 코인을 배분해 주는 방식입니다.

POS 알고리즘은 코인마다 다른데, 자산 코인의 보유기간 제한이나 특정 수량 이상의 보유자에게만 이자를 주는 식으로 지급기준이 다릅니다.

POS 방식은 이자를 받으려고 코인을 보유하려고만 해서 유통량이 감소하는 것과 코인을 많이 보유할수록 권력을 갖게 되는 구조가 단점입니다.


해당 코인: 큐텀코인(Qtum), 대시(DASH), 리스크(LSK), 비트쉐어(BTS), 팩텀(FCT), 엔엑스트(NXT), 옴니레이어(OMNI), 피복(PIVX) 등





DPOS


DPOS란 Delegated Proof Of Stake의 줄임말로 "위임된 지분증명"을 뜻합니다.


POS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채굴 방식으로,

코인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가 블록 생성을 하는 대신 투표로 선출된 '상위 노드'에게 권한을 위임해 블록 생성을 담당하게 하고 위임 인센티브를 받는 방식입니다. 위임을 통해 기존의 POS가 갖는 코인 유통이 안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대표성을 통한 민주주의를 실현하였습니다.

그렇지만 이런 방식은 코인의 의사결정이 중앙화되어 통제되므로 '비 탈중앙화' 코인으로써 한계가 발생하게 됩니다..


해당 코인: 아크(Ark), 라이즈(Rise), 리스크(LSK), 스팀(Steem), 이오스(EOS)





LPOS


LPOS란 Leased Proop Of stake의 줄임말로 "리스 지분증명"을 뜻합니다.


POS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식으로 보유한 코인을 임대해 주고 빌려준 비율만큼 인센티브를 받는 방식입니다


해당 코인: 웨이브(WAVES)





POI


POI란 Proof Of Importance의 줄임말로 "중요도증명"을 뜻합니다.


POS처럼 지갑에 코인을 넣고 있으면 보상(이자)를 받는 것은 동일하나 추가로 코인 거래량이나 거래금액에 따른 네트워크의 기여도에 따라 더 많은 이자 코인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해당 코인: 넴(NEM), 비체인(VEN)





POC


POC란 Proof Of Capacity 또는 Proof Of hdd Capacity 의 줄임말로 "용량증명"을 뜻합니다.


POC는 하드디스크의 남은 용량을 일정 단위로 쪼개 네트워크에 공유하여 그 실적에 따라 코인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하드디스크 용량이 클수록 많은 코인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코인: 버스트(Burst), 스토리지(STORJ), 시아(SC)





POA


POA란 Proof Of Access 의 줄임말로 "접속증명"을 뜻합니다.


SNS 등에서 홍보, 추천인, 커뮤니티 참여, 적시 상환, 버그 신고 등등에 활동에 의해 보너스 코인을 받는 방식입니다.


해당 코인: 솔트(SALT)





POA


POA가 또 있으니 바로 Proof Of Authority의 줄임말로 " 권위증명" 혹은 "권한증명"을 뜻합니다.


POS의 단점을 보완하고 중앙에서 통제하기 위해 승인된 신원 또는 유효성 검사기라는 승인된 계정(노드)에 의해 거래의 유휴성을 검사하고 블록을 유지 및 생성하는 식입니다. 이 방식은 신뢰 노드를 네트워크에 공개하기 어려운 부담으로 Private Blockchain에 적합합니다.


해당 코인: 스타그램코인(SGC)





POB


POB란 Proof Of Believability 의 줄임말로 "신뢰증명"을 뜻합니다.


POS에서 발전한 형태로 코인을 보유한 지분 외에도 노드의 신뢰 지수(Believability)도 고려해 신뢰가 가장 높은 노드에서 거래를 검증할 권한과 검증대가의 인센티브를 받는 방식입니다. 신뢰는 해당 코인의 커뮤니티내 기부나 기여 활동으로 측정되는데. 일정 기간이 지나면 신뢰도 지수가 파괴되어 거래 검증을 독점하지 못하도록 하여 POS와 같이 중앙화가 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코인: 이오스트(IOST)





Non-Mining


논마이닝(Non-Mining)은 말 그대로 채굴(마이닝)을 '하지 않는 것' 또는 '못하는 것'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리플 코인이 채굴을 할 수 없는데, 리플은 리플랩스에서 1000억 개를 일괄 발행해 380억 개를 시장에 유통 중이며 유통되는 코인은 거래 수수료로 사용되면서 소진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리플이 채굴이 되지 않으므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리플사가 보유한 코인을 시장에 매월 10억 개씩 추가 유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제 형태로 인해 리플은 '비탈중앙화' 코인으로 분류됩니다


해당코인: 리플(XRP)





[ 참고 ]


ZKP


Zero Knowledge Proof의 줄임말로 영지식 증명(零知識 證明)을 뜻하는 암호학 기술입니다. 채굴 방식은 아닙니다.


ZKP는 어떤 정보를 발설/누설하지 않고 그 정보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는 기술로, 기존에 공개키 방식 암호화에서 암호/복호화 시 공개키가 노출됨으로써 대상이 누구인지 알 수 있게 되어 거래 추적이 가능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ZPK 기술을 통해 코인 거래 시 거래자끼리 신원확인을 위한 블록체인 값을 교환하지 않고 거래가 이뤄지기 때문에 지불 출처나 목적지, 금액 등을 알아낼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ZKP는 익명성이 보장되는 소위 '다크코인'들이 채택하는 핵심기술입니다.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영지식증명


적용 코인: 제트캐시(ZEC), Zcoin(XZC), Kurrent(KURT), Spectre(XSPEC)








※ 예시 코인은 향후 채굴 방식이 바꿀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 이더리움 POW → POS 예정